본문 바로가기

곽노완 논문수  · 이용수 20,343 · 피인용수 109

  • 저자정보 . 논문
  • 공저자 . 저널

저자의 연구 키워드

저자의 연구 키워드
#21세기 코뮌주의
#가공자본
#겹치는 공간
#겹치는 공간들
#계획
#고르
#곡물위기
#공간의 생산
#공간적 선회
#공간정의
#공동체
#공유
#공유경제
#공유도시
#공유지
#공유지의 역설
#공적 공간
#공통도시
#그람시
#글로 컬기본소득
#글로컬아고라
#글로컬폴리스
#기본소득
#기생
#노동의 위기
#노동해방
#다중
#달러지배체제위기
#도시공유권
#도시공유지
#도시권
#도시에 대한 권리
#도시지대
#독점지대
#디커플링
#로머
#르페브르
#리프킨
#마르크스
#마르크스의 사회주의론
#마르크스주의
#베르너
#보상적 정의
#분배정의
#비데
#사회(공산)주의론
#사회배당
#사회연대소득
#사회주의
#서브프라임 모기지
#서울
#석유위기
#성과에 따른 분배
#소자
#수탈
#스마트시티
#시민사회
#알튀세
#앙리 르페브르
#앤더슨
#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
#임금노동
#자유노동
#절대지대
#주거권
#주택
#지공주의
#지대공유
#차액지대
#착취
#참여계획
#코뮌공간
#쿠폰 사회주의
#토지공유
#파레이스
#판 돈젤라
#프레카리아트
#프롤레타리아트
#플랫폼 공유지배당
#플랫폼 노동
#플랫폼 자본
#플랫폼시티
#필요에 따른 분배
#하비
#헤게모니장치
#현대 사회(공산)주의론
#absolute rent
#Althusser
#Anderson
#basic income
#Behausungsrecht
#Bidet
#Common City
#commons
#communal space
#communism of 21st century
#community
#compensatory justice
#coupon socialism
#Crisis of Labor
#Decoupling
#differential rent
#distributive justice
#dividend for the profit of platform commons
#Earth Share
#Emancipation of Labor
#exploitation
#expropriation
#Fiktives Kaptial
#free labor
#Getreide-Krise
#glocal agora
#glocal basic income
#Glocal Polis
#Gramsci
#Grundrentendividend
#Harvey
#Hegemonialapparat
#Howard
#Ideologischer Staatsapparat
#income for social solidarity
#Krise der Dollar-Hegemonie
#Lefebvre
#Marx
#Marxismus
#monopoly rent
#Multitude
#Ölkrise
#Overlapping Spaces
#paradox of commons
#parasitism
#Parijs
#Partizipationsplan
#Plan
#platform capital
#platform city
#platform labor
#precariat
#production of space
#Proletariat
#public space
#Rifkin
#Right to the City
#Right to the Common Sharing of the City
#Roemer
#Seoul
#Sharing City
#Sharing Economy
#smart city
#social dividend
#Soja
#Sozialismus
#Spatial Justice
#Spatial Turn
#Suprime Mortgage
#the commons
#the right to the city
#the right to the common city
#urban Commons
#urban rent
#Van Donselaar
#Verteiling nach Bedürfnissen
#Verteilung nach Leistung
#wage labor
#Werner
#Wohnung
#Wohnungsgrundeinkommen
#Zivilgesellschaft

저자의 논문

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·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,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