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홍세선 (Sei Sun Hong) 논문수  · 이용수 10,983 · 피인용수 45

소속기관
한국지질자원연구원
소속부서
기후변화대응연구본부
주요 연구분야
자연과학 > 지구과학 > 지질학 TOP 5%
연구경력
-
  • 저자정보 . 논문
  • 공저자 . 저널

저자의 연구 키워드

저자의 연구 키워드
#거제도
#고기후
#고산층
#고환경
#골재수급
#광물조성
#광여기루미네선스
#구성암류
#구성암층
#규격석 및 비규격석
#기후변동
#단열 조
#대리암
#대자율
#동아시아몬순
#매립지
#모우드(석영+알칼리장석+사장석, 흑운모)
#물성
#미고화 퇴적물
#미고화 퇴적층
#바다골재
#박석
#박석의 규격
#박편분석
#방사성탄소연대
#백록담
#보성강
#분포율
#분포율과 분포특성
#사암
#산림골재
#상창리
#석산
#석재
#섬록암
#수월봉 응회암
#수치지질도 및 수치지형도
#수치지질도 및 지형도
#시추코아
#시추퇴적물
#암석화학 파라미터
#암종
#암층
#우포늪
#육상골재
#의림지
#입도분석
#재질특성
#제4기
#제4기 퇴적층
#제방축조
#제주도
#조면암
#종묘
#중첩도
#지구화학
#지질시대
#지표환경 변화
#층서
#층서유형
#탄소동위원소
#탄소연대
#하천골재
#한라산
#해수면
#해수면변동
#해안단구
#화강암
#화산활동
#Aggregate
#ancient water reservoir
#ArcGIS 10.1
#ArcGIS 9.0
#ArcGIS 9.2
#ArcGIS 9.3
#Baengnokdam
#Bank construction
#bank materials
#Boseong River
#C3 and C4 plants
#C3/C4 식물
#C4 plant
#C4식물
#carbon dating
#carbon isotope analysis
#changes of depositional environment
#climate change
#coastal terrace
#construction age
#core sediments
#Crushed aggregate
#digital geologic and geomorphic maps
#dimension and non-dimension stones
#dimension stone
#diorite
#distribution ratio
#distribution ratios and characteristics
#distributive ratios
#dome collapse
#East Asian monsoon
#flagstone
#Forest aggregate
#fracture set
#geochemical composition
#Geoje Island
#geologic age
#geologic ages
#Gosan Formation
#granite
#Jeju
#Jeju Island
#Jongmyo
#Jurassic and Cretaceous granitoids
#Lake sediment
#Land aggregate
#magnetic susceptibility
#marble
#mineralogical composition
#moderately ferromagnetic
#modes (Qz+Af+Pl, Bt)
#Mt. Halla
#OSL
#overlapped diagram
#paleoclimate
#paleoenvironment
#paramagnetic
#petrochemical parameter
#physical property
#profile type
#quarry
#Quaternary
#Quaternary deposits
#radiocarbon dating
#reclaimed land
#reclamation
#River aggregate
#rock type
#rock types
#sandstone
#Sangchang-ri
#sea level
#sea-level change
#stratigraphy
#Suwolbong-tuff
#unconsolidated sediment
#unconsolidated sediments
#Upo wetland
#volcanic eruption
#weakly ferromagnetic
#δ<SUP>13</SUP>C values

저자의 논문

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·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,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.